Definition
- topologically equivalent : 어떤 space를 자르기와 붙이기 없이 다른 space로 변경이 가능하다면 두 space는 topologically equivalent라고 한다. (어떤 물체를 변경하는데 구부리거나, 늘이거나, 줄일 수 있지만 구멍을 뚫을 수는 없다고 할 때, 찰흙공은 적절한 변형을 통해 접시와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도넛 모양의 찰흙 모형은 적절한 변경을 통해 컵과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다.)
- explicit representation : n-dimensional space를 표현하기 위해 n-coordinates를 선택하는 방법. (구 표면 위의 한 점을 latitude, longitude로 표현)
- implicit representation : n-dimensional space를 n보다 큰 유클리안 space의 일부로 보고, 유클리안 좌표계와 constraint로 표현하는 방법. (구 표면 위의 한 점은 2-dimesional C-space이지만, 3차원 유클리안 좌표계(x, y, z)와
라는 constraint로 표현. (constraint를 추가해줌으로써, dof는 2가 된다.) ) - holonomic constraints : C-space의 diemension을 줄여주는 constraint.
- non-holonomic constraints : C-space의 dimension을 줄여주지 못하는 constraint.
Topology and Representation
이전 시간에서 robot의 c-space의 중요한 특성으로 dimension(또는 dof)에 대해서 배웠다. 이번에는 또 다른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shape에 대해서 학습할 것이다.
C-space의 shape이 구 모양이라면, C-space의 한 점은 2차원(lon,lat)으로 표현할 수 있다. C-space이 평면이라면, 이 C-space의 함 점 또한 2차원(x, y)으로 표현할 수 있다. 둘 다 2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두 space의 shape이 동일하다고 하지는 않는다. "topologically equivalent"한 두 space를 shape이 동일하다고 표현한다. (Definition 참조)
1차원에서는 아래 3가지를 topologically distinct(topologically equivalent하지 않다)하다고 한다.
- the circle : S 또는
(1차원 구 sphere) - the line : E 또는
(1차원 유클리시안) 또는 R 또는 - closed interval of the line :
고차원 space의 topology는 이 3가지를 활용하여 Cartesian product
- 평면 위에 있는 rigid body의 c-space는
로 표현 가능하다. ( (x, y)와 angle ) - 2R 로봇 팔의 c-space는
로 표현 가능하다. 은 (n+1) dimensional space의 n-dimensional torus(도넛 모양) surface이다. ( n개)는 으로 표현 가능하다. 참고로, 와 는 topologically equivalent하지 않다. - 2차원 평면에 2R 로봇 팔이 붙어있는 rigid body의 c-space는
로 표현 가능하다. 이는 다시 로 표현할 수 있다.
topology는 space의 핵심적인 특성이지만, 실제로 우리가 space의 point를 표현하기 위해 어떤 좌표계를 선택할지와는 무관한다. 예를 들어, 원의 한 점을
구 표면의 한 점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explicit representation인 latitude, longitude 좌표계를 선택했다고 가정해보자. Pole 근처에서 한 점이 움직이고 있다면, 아주 작은 움직임에도 매우 큰 좌표 변화가 발생할 것이다. 이러한 North/South Pole을 representation의 singularities(특이성)라고 한다. 이러한 singularities는 구 자체에서 야기되는 것이 아니다. 단지 representation 선택(latitude, longitude 좌표계)에 따른 결과이다. 이러한 singularities는 속도를 표현할 때 특히 문제가 된다.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singularities (구의 pole) 근처에서는 속도가 무한대에 가까워질 것이다.
만약 configuration이 singularities 근처로 가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를 무시해도 된다. 하지만 그러한 가정을 할 수 없다면 representation 선택을 달리하여 이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. explicit representation에서 발생하는 singularities문제는 implicit representation을 선택하여 극복이 가능하다. (이러한 이유로 modern robotics 강의에서는 implicit representation을 사용)
- explicit representation
- 장점 : 최소한의 좌표로 표시할 수 있음. (simple)
- 단점 : singularities 근처에서 실제 움직임(속도)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함.
- implicit representation
- 장점 : 실제 움직임(속도)을 잘 반영함. (구의 표면의 point 움직임이 pole에서도 (x, y, z)의 변화로 잘 반영된다.)
- 단점 : dof보다 많은 coordinates가 필요.
다음은 로봇의 system, topology 그리고 representation을 보여주는 그림이다.


참고 : 로봇이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위치(자세)는 configuration space로 표현할 수 있다. 동작 계획의 영역에서 configuration space의 두 점 사이의 경로가 로봇의 위치(자세)를 변경하기 위한 로봇의 움직임을 나타낸다. 참고로, 위의 그림에서 System과 Topology의 좌표는 연속적으로(smooth 하게) 움직이지만 Representation의 좌표는 비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.
Configuration and Velocity Constraints

위와 같은 four bar linkage가 있다면, 아래와 같이 4개의 변수(
, , ,
이를 좀 더 일반적으로 표현하면, configuration space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. 아래의 경우 dof는 (n-k)가 되며, loop-closure equation같이 k개의 독립적인 equation을 holonomic constraint라고 한다.
- column vector
- loop-closure equation
loop-closure equation을 적용받는 closed-chain robot이 움직인다고 가정해보자. loop-closure equation
이 식을 다시 column vector
이러한 형식(
여기서
다음으로 holonomic type과 다른 경우의 Pfaffian constraint를 살펴보자. 아래와 같이 real wheel의 중심을 (x, y) 라고 하고, chassis angle을

이 자동차의 configuration은
x를 시간 t로 미분하면
y를 시간 t로 미분하면
이를 정리하면
이 식을 Pfaffian constraint으로 표현하면
여기서 구한 A(q)는 적분 가능하지가 않다. (
Task Space and Workspace
로봇의 end-effector와 관련된 configuration으로 task space와 workspace가 있다. 이는 로봇의 c-space과 구분하여야 한다. task space 또는 worksapce의 한 점을 통해 로봇의 configuration을 정의할 수는 없다. 즉, task space 또는 workspace의 한 점은 로봇의 여러 configuraion(자세)을 통해 도달 가능할 수 있다. 그리고 task space의 어떤 점들은 로봇이 도달하지 못 할 수도 있다. (workspace는 최소 하나의 configuration을 통해 도달 가능하다.)
- Task space : 로봇과 관계없이 task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space. 예를 들어 로봇의 task가 칠판에 글을 적는 것이라면 이 task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space는 2차원 유클리안 space일 것이다.
- Workspace : task와 상관없이 robot의 구조에 따라 end-effector가 도달할 수 있는 space.
'Robotics > Modern Robo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odern Robotics - Configuration Space (1) - degree of freedom (0) | 2022.02.01 |
---|---|
Modern Robotics - 강의 정보 (0) | 2022.02.01 |